직장인 IRP 납입 후 실제 세액공제 금액 공개|연말정산 환급 꿀팁!

“연말정산에서 더 돌려받을 수 있는 방법 없을까?”
저도 매년 그런 생각이 들었죠. 그러다 IRP(개인형 퇴직연금)을 활용해서
진짜로 환급금이 늘어난 경험을 했어요.
그 이후로는 IRP를 매년 최대한도로 넣고 있죠. 😉

이번 글에서는 제가 실제로 IRP에 납입하고 세액공제를 얼마나 받았는지,
연말정산에서 얼마를 환급받았는지
하나하나 공개해 보도록 할게요~~


✅ IRP 세액공제, 어떻게 적용되나요?

IRP는 연금저축과 함께 연간 최대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대상입니다.

  • 총 납입 한도: 1년에 최대 1,800만 원
  • 세액공제 한도:
  • 연금저축만 있는 경우: 400만 원
  • IRP + 연금저축 있는 경우: 최대 700만 원
  • 세액공제율:
  • 종합소득 5500만 원 이하: 16.5%
  • 그 이상: 13.2%

📌 즉, 700만 원 x 16.5% = 최대 115.5만 원 환급 가능 하다는 사실!!!


📊 실제 세액공제 사례 (2024 연말정산 기준)

항목금액
IRP 납입액360만 원 (매달 30만 원 자동이체)
연금저축 납입240만 원
세액공제 대상 합계600만 원
세액공제율13.2% (과표 5,500만 원 초과)
세액공제액79만 2천 원
실제 환급받은 금액약 80만 원 (기타 공제 포함)

💡 작년에는 IRP 없이 연금저축만 했고 환급이 52만 원 수준이었는데,
올해는 IRP 추가로 약 28만 원 더 환급받았다니깐요.


🧾 전년도 대비 환급금 비교

항목2023년2024년
연금저축 납입400만 원240만 원
IRP 납입0360만 원
세액공제액약 52만 원약 80만 원
차이+28만 원 이득!

✅ 단순히 360만 원 저축했을 뿐인데, 연말정산에서 28만 원 환급
IRP는 “나중을 위한 준비 + 지금의 절세”가 동시에 된다고요!!


💼 직장인 IRP 활용 팁

1️⃣ 월 자동이체로 루틴화
→ 월 30만 원씩 자동이체 설정해두면 세액공제 한도 채우기 쉬워요.

2️⃣ 연봉 구간 확인 후 공제율 확인
→ 5,500만 원 이하면 16.5% / 초과 시 13.2%입니다.

3️⃣ 연금저축과 IRP 합산해서 700만 원까지만 납입
→ 초과분은 세액공제 안 돼요!! 주의~~

4️⃣ 퇴직금이 있는 직장인은 IRP 계좌 필수 개설
→ 퇴직소득세 절세 + 개인 납입으로 추가 공제 가능합니다


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. IRP를 안 쓰면 어떻게 되나요?
→ 공제받을 수 있는 돈을 그냥 버리는 셈이자나요.
같은 연봉이어도 IRP 있는 사람은 연말정산에서 훨씬 많이 돌려받습니다.

Q. IRP는 언제까지 가입해야 하나요?
해당 연도 12월 31일까지 납입해야 그 해 공제 적용
가능하면 10~12월 안에 몰아서라도 납입하세요.

Q. IRP는 꼭 투자상품만 골라야 하나요?
→ 아니요! 예금형(원리금보장형)도 가능하니 안정적인 선택도 됩니다.

Q. 해지하면 어떻게 되나요?
세액공제 받은 금액에 대한 추징(환수)이 발생하니 주의하면 좋겠죠?
원칙적으로 55세 이후 연금 형태 수령이 목표입니다.


💬 마무리하며

IRP는 그냥 “노후 대비 상품”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,
지금 당장 ‘연말정산 환급금’을 늘리는 현실적인 전략이기도 합니다.

저는 세액공제의 재미를 알아버린 후부터
매년 30만 원씩 자동이체로 쌓고 있다고요.
환급으로 돌아올 때 그 뿌듯함은 이루 말할 수 없답니다.^^

다음 글에서는 “IRP로 ETF 투자하기|수익 + 절세를 동시에”
실전 투자법을 알려드릴게요!